[앵커]
친환경 전기차 사용을 선도하기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관용차 가운데 40%를 전기차로 쓰도록 의무화한 건데요.
과연 잘 쓰고 있을까요?
김주영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전기차 보급에 앞장서기 위해 공공기관에서 관용차를 살 경우 일정 비율로 전기차를 사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47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1,150대의 전기차를 구매했는데요.
과연, 제대로 사용하고 있을까요?
'국민신문고'는 이와 관련해 각 기관의 전기차 사용 현황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그중 몇 군데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한국무역보험공사, 우체국금융개발원, 한국토지주택공사 모두 월평균 주행거리가 100km에 채 못 미쳤습니다.
한국석유관리원은 50km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곳들뿐만 아니라 저희가 확보한 63개 기관이 전기차는 한 달에 400km가량을 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자동차 한 달 평균 주행거리인 1,200km의 1/3에 불과한 겁니다.
한 기관 관계자에게 그 이유를 물어봤습니다.
[한국무역보험공사 관계자 : 아직 아마 충전이나 그런 부분 때문에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운행하다가 배터리가 방전돼서 현장에 나가서 그래서. 그 차는 가급적이면 직선거리로 30km 가까운데 위주로 하다 보니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전기차 한 대 구매에는 4천만 원 전후의 돈이 드는데요.
모두 국민의 세금입니다.
이렇게 큰돈을 들이고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전기차.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가 더 많이 보급돼야 한다는 논리를 국민이 얼마나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YTN 김주영[kimjy0810@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60903050256413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