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5월 중하순으로 예고가 되어 있죠. 북미 정상회담. 지금 어디서 열릴지 그 장소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곧 조만간 북미 정상회담 장소 그리고 날짜를 결정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회담 장소가 그야말로 세기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판문점이다, 평양이다 아니면 또 다른 제3의 장소다인데요.
오늘 이 얘기 좀 집중적으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님 나와계십니다. 어서 오십시오.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제가 지금 판문점, 평양, 제3의 장소 이렇게 얘기했는데요. 현재 분위기로는 그래도 판문점이 제일 우세한 것 아닌가요?
[인터뷰]
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언급을 했기 때문에. 아마 지난주까지만 해도 이 자리에서도 북한 지역은 배제되는 그런 보도 경향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최근에 판문점이 급부상하고 있고요. 역시 동시에 평양은 아니라고 하지만, 그러니까 크게 보면 한반도로 지금 압축되는 분위기입니다.
그 이유는 결국 4. 27 남북 정상회담과 관계가 있지 않는가라고 보여지고요.
왜냐하면 4. 27 남북 정상회담이 상당히 성과가 있게 끝났다라는 게전반적인 평가이고요. 거의 국민 90% 내외가 동의하는 그런 상황이고요.
여론조사에서는 그렇게 나오고 있죠.
[인터뷰]
해외에서도 매우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고요. 특히 4.27 정상회담 이후에 트럼프 대통령의 입이 지금 귀에 걸렸습니다.
그 이야기는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임명이 됐죠.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매우 까다로운 사람인데 상당히 긍정적인 얘기만 하고 있거든요.
그렇게 본다고 하면 4.27 정상회담으로 북미 간의 이견이 상당히 좁혀졌다, 그다음에 트럼프 대통령이 상당히 회담을 낙관하는 상황이 벌어졌다라고 볼 수 있고요.
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북미 정상회담에서 성과가 이미 예정돼 있는 거죠.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 그분의 리더십이나 성격상 어디든 갈 수 있는 거죠.
어디든? 저도 그 말에 동의합니다. 어디든 장이 선다면 갈 성격이라고 저도 판단을 하는데. 조 위원님뿐만 아니고 전문가들 자주 만나서 이런 얘기를 할 것 아닙니까?
그분들 의견도 대체적으로 비슷합니까?
[인터뷰]
아닙니다, 많이 갈립니다. 왜냐하면 저는 이...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80502143352169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