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에서 만난 남북 이산가족은 오늘 이틀째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제 60여 년 묵은 소원을 푼 가족들의 표정은 한층 밝아졌습니다.
남북회담본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지선 기자!
오늘은 상봉 일정이 어떻게 되나요?
[기자]
이산가족들은 오전 10시 10분쯤 호텔방에서 개별 상봉을 시작했습니다.
우리 측 가족들의 숙소인 외금강 호텔 객실에서 가족끼리만 시간을 갖는 건데요.
취재진과 지원 인력 없이 가족들만의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올해는 처음으로 방에서 점심 식사까지 함께하는 시간이 마련됐습니다.
그동안에는 호텔 연회장에서 모두 함께 점심을 먹었는데요.
밥을 함께 먹는다는 식구의 의미 그대로, 가족들만의 오붓한 식사 시간을 갖게 하자는 취지에서입니다.
오후 3시부터는 다시 단체 상봉장에서 2시간 동안 만나고, 오늘 상봉은 이걸로 끝이 납니다.
60여 년 만에 그리운 가족을 만나 맺혔던 한을 푼 가족들이 많을 텐데, 오늘 아침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기자]
생이별 후 첫 만남으로 눈물바다가 된 어제와는 달리 가족들의 표정은 한결 밝아졌습니다.
이번 상봉 신청을 통해 처음으로 68여 년 전 헤어진 아내의 배 속에 있던 딸의 존재를 알게 된 89살 유관식 할아버지도 환한 미소를 지었습니다.
딸도 만나고 사촌 동생도 봐서 소원이 풀렸다며 오늘 만남에도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
북측 가족이 잘 알아보도록 화려한 모자를 쓰고 상봉장에 나타난 김종삼 할아버지의 표정도 줄곧 밝았습니다.
처제를 만난 93살 양철수 할아버지는 벌써 내일 이별을 걱정했고, 조카들을 만난 유원식 할아버지도 빨리 통일이 돼서 왕래 좀 하고 살았으면 좋겠다며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연로하신 어르신들이 많아 밤사이 몸살 기운을 호소하거나 샤워를 하다 넘어져 다친 분도 계셨지만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런가 하면 북측 보장성원들이 최근 남북, 또 북미 관계 변화에도 관심을 보였다고요?
[기자]
북측 보장성원은 우리로 따지면 진행요원, 지원 인력입니다.
이들은 가족들의 만남을 지원하는 틈틈이 우리 언론 취재진에게 질문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이나 얼마 전 남북 고위급회담에 대한 평가, 북미 관계에 대한 것들입니다.
특히 여종업원 문제도 먼저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8082111021458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