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문 대통령 메시지에 北 명확한 '거부'...2018년 이전 회귀 막을 묘수는? / YTN

2020-06-16 4 Dailymotion

북한의 이번 행동은 그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에 대한 즉각적인 거부 표시로도 볼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북한이 남북 정상 간의 합의를 무효화하고 2018년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이는데 묘수가 보이지 않습니다.

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북한이 폭파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는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의 결과물입니다.

[윤영찬 /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 민간교류와 협력을 원만히 보장하기 위하여 쌍방 당국자가 상주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지역에 설치하기로 하였다.]

지난 13일 밤, 연락사무소를 형체도 없이 무너뜨리겠다고 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가 현실이 되면서 판문점 선언은 의미가 퇴색했습니다.

북한이 여기서 멈추지 않고 군사 행동에까지 나설 경우 9·19 남북 군사합의마저 명분을 잃게 됩니다.

그야말로 남북 관계가 재작년 세 차례 정상회담 이전, 대결의 시대로 원점 회귀하는 상황까지 걱정해야 하는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6·15 공동선언 20주년을 계기로 두 번이나 대화의 창을 열고 함께 돌파구를 열자고 한 제안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그제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식 영상 축사) : 한반도 정세를 획기적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김정은 위원장의 노력을 나는 잘 알고 있습니다. 북한에도 대화의 창을 닫지 말 것을 요청합니다.]

재작년 세 차례, 지난해 한 차례 만남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과의 신뢰를 보여줬던 문 대통령의 메시지에 북측이 곧바로 '거부 표시'를 했다는 점에서 청와대가 느끼는 당혹감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점검하는 단계로 들어가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렇지만 북한의 이번 행동이 지난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오랜 불만이 축적된 결과라는 점에서 사태를 급반전시킬 묘수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하노이 회담 직후 문 대통령이 제안했던 4차 남북 정상회담은 물론, 개성공단이나 금강산관광 재개, DMZ 평화지대 구상, 남북 코로나 방역 협력에도 북측은 무반응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외교 채널을 통한 우회적인 소통이나 특사 파견, 외교 안보 라인의 교체를 통한 새판 짜기 같은 다양한 수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남북 관계를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0617000814849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