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5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가진 취임 후 첫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제7차 핵실험을 언제라도 감행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 정세 안정과 북한 비핵화 조치를 이끌기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11분(현지시간)부터 25분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장소인 인도네시아 발리의 한 호텔에서 시 주석과 첫 대면 정상회담을 했다. 한·중 정상이 대면 회담을 한 건 문재인 정부 당시인 2019년 12월 이후 약 2년11개월 만이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지난 3월 25일 시 주석과 25분간 첫 통화를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최근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도발을 지속하며 핵·미사일 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인접국으로서 중국이 더욱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시 주석은 “한·중 양국이 한반도 문제에 공동 이익을 가진다”며 “평화를 수호해야 하며, 한국이 남북관계를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바이든, 중국에 대북 관여 요구…김정은 ‘핵실험’에 변수로 윤 대통령 “식량·에너지 보호무역 자제하자” G20 정상회의서 제안 시 주석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대해 “북한의 의향이 관건”이라며 “북한이 호응해 온다면 담대한 구상이 잘 이행되도록 적극 지지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 주석은 “그동안 코로나 팬데믹으로 한국을 방문할 수 없었지만, 코로나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 윤 대통령의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7925?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