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XBB 변이 진원지로 美 지목 " /> 中, XBB 변이 진원지로 美 지목 "/>
中 민항국 "미국과 항공편 정상화 환영"
中, XBB 변이 진원지로 美 지목 날 세워
美 "신종 변이 우려"…중국발 입국 PCR 의무화
중국은 한국과 일본을 표적 삼아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한 지 하루 만에 '무비자 환승 관광'까지 배제하는 추가 보복 조치를 내놨습니다.
반면, 그동안 입국 제한 문제로 날을 세워 온 미국엔 코로나19 이후 끊겼던 항공편 운행 정상화를 환영한다며 '러브콜'을 보냈습니다.
과연, 중국의 속셈이 무엇인지 현지 연결해서 들어봅니다. 강정규 특파원!
[기자]
네, 베이징입니다.
중국이 불만으로 내세워 온 게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인데, 정작 자신들이 선별적 보복 조치를 하고 있는 것 같군요?
[기자]
중국 민항국이 코로나19 이후 끊겼던 미국과 항공편 운행 정상화를 환영한다는 메시지 내놨습니다.
원론적 입장이었지만, 이웃 나라인 한일 양국에 비자 보복 조치를 내린 시점이라 관심 끌었는데요.
무엇보다 그동안 중국은 미국을 XBB 변이의 진원지로 지목하며 날을 세워왔습니다.
방역적 측면에선 충분히 맞대응 할 수 있는 명분을 쌓은 셈인데, 반대로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겁니다.
앞서 미국은 중국의 불투명한 역학 정보와 신종 변이 출현 우려 등을 제기하며 PCR 검사 의무화 조치를 내렸죠.
우리나라는 여기에 더해 단기 비자 발급 제한과 항공편 증편 논의 중단 등을 추가했습니다.
해외 입국을 전면 차단한 모로코, 북한 같은 예외적 사례 빼면 주요국 가운데 중국인에 대한 비자 제한 조치를 내린 건 사실상 우리나라 뿐인데요.
중국이 우리나라에 비자 발급 보복 조치에 나서면서 차별적 입국 제한에 대한 상응 조치라고 주장한 이유입니다.
그런데 중국이 우리나라와 함께 일본도 걸고 넘어지면서 '상응 조치'의 기준이 불분명해졌죠?
[기자]
일본도 중국발 입국자에 PCR 검사 의무화 조치를 내리긴 했지만, 비자 발급을 제한하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작년 10월, 코로나19 발병 이후 시해해 온 비자 제한 조치를 모두 풀었습니다.
그런데도 중국은 일본에 대해 외교와 공무 예외 이외의 모든 일반 비자 발급을 중단시켰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 보다 더 강력한 비자 제한 조치를 내린 셈입니다.
일본이 '상호주의'와 '비례성'에 어긋난다며 반발하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중국이 말하는 '상응 조치'의 ... (중략)
YTN 강정규 (liv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11211574411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