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5월 FOMC 발표 임박...금리 동결 신호에 '촉각' / YTN

2023-05-03 76 Dailymotion

■ 진행 : 함형건 앵커
■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우리 시간으로 내일 새벽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은행 추가 파산으로 인한 금융 불안에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와 함께 전망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새벽에 나올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 일단은 0.25%포인트 인상 베이비스텝 전망이 유력한 것 같아요. 어떻게 보십니까?

[김광석]
방송 출연하기 직전에 시장에서 기대하는 금리인상폭, 베이비스텝에 약 85% 정도 무게를 두고 있다라는 것을.


확률적으로 85% 정도로 보고 있다.

[김광석]
시장이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먼저 말씀드리고요. 일단 연준에서 금리를 이렇게 인상하는 그 이유가 바로 물가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물가상승률이 바로 엊그저께 금요일날 발표가 됐습니다. 이 PCE 물가상승률이 5.1에서 4.2%로 상당한 수준으로 떨어진 건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PCE 물가상승률이 떨어진 데 상당한 기여가 바로 에너지 가격이 안정화돼서 그래요. 왜냐하면 지금 국제유가 다시 오르고 있는 것 아니냐, 이렇게 말씀하시지만 그래도 물가상승률의 개념이 전년 동월과 비교하기 때문에. 2022년 5월과 한번 비교해 보세요. 그때 100달러를 초과했었습니다. 그때랑 비교하면 국제유가나 에너지 가격은 다 오히려 마이너스인 거예요. 그런 것들을 제외한 나머지 물가를 우리는 근원물가상승률이라고 하죠. 식료품 물가와 에너지 물가를 제외한 나머지 근원물가. 이 근원물가는 다른 말로 기조적으로 물가가 확실히 잡히고 있느냐, 이걸 판단하는 것인데 근원물가상승률은 4.7에서 4.6%로 안 잡힌 채 유지되고 있는 거예요. 그러니까 연준 입장에서는 물가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목표하에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데 도저히 근원물가는 안 잡히고 있네 하는 것을 보고 있으니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러면 일단 0.25%포인트 정도 올린다고 하더라도 그러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이게 관건인데요. 결국 파월 의장 입에서 어떤 얘기가 나올지, 금리인상 이 정도에서 멈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503194708989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