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이 숨진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당시 사전에 교통 통제가 이뤄지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됐죠.
침수 수위가 통제 기준에는 미치지 않았다는 게 충청북도의 해명입니다.
하지만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기준이 느슨할 뿐만 아니라, 물이 얼마나 찼는지도 '눈대중'으로 어림짐작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윤웅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송 지하차도를 왜 사전에 통제하지 않았냐는 지적에 관할 충청북도는 거듭 '침수심'을 강조했습니다.
다시 말해, 지하차도 내부의 침수 높이가 통제 기준인 50cm에 이르지 않았다는 겁니다.
[강종근 / 충청북도 도로과장 : (침수심이 박스 아래) 50cm가 되면 승용차 바퀴가 반 이상 잠기는 깊이이기 때문에 운행이 위험하다고 판단해서 통제하는데…]
하지만 지하차도에 50cm 높이로 물이 들어찰 경우 달리던 차량은 시동이 꺼져 멈출 가능성이 큽니다
이 때문에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통제 기준이 충북보다 훨씬 엄격합니다.
실제 서울은 10cm, 부산은 10~15cm만 지하차도가 침수돼도 차량 진입을 통제합니다.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침수 정도가 통제 기준에 도달했는지 '눈대중'으로 본다는 겁니다.
YTN 취재 결과, 충북도는 오송 지하차도의 경우 직원이 CCTV를 보다가 차량 바퀴의 절반 정도가 물에 잠기면 50cm가 됐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충북도 관계자 : (센서나 그런 건 없나요?) 네 그런 건 없어요. (50cm면 바퀴 중간 정도 온다고?) 통상 그렇게 해서 지금 판단을 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차마다 바퀴 크기가 달라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또, 직원이 수많은 CCTV 화면상에서 빠르게 지나가는 차량의 바퀴를 24시간 빈틈없이 감시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일부 지자체는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침수감지 장치'를 통해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통제 수위만큼 물이 들어차게 되면 이 침수 감지 장치가 자동적으로 인식해 사업소로 통보가 이뤄집니다.
서울은 오송 지하차도처럼 자연 배수가 어려워 큰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강제배수 지하차도' 69곳 가운데 55곳에 침수 감지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3년 전 비슷한 참사를 겪은 부산도 80% 가까이 설치돼 있습니다.
[조원철 /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 : 이미 당연히 지하차... (중략)
YTN 윤웅성 (yws3@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30722061133469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