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러시아와 동맹에 준하는 조약을 맺은 가운데 이번 주 한미일 3국이 처음으로 다영역 연합훈련을 실시해 북한의 반응이 주목됩니다.
이뿐 아니라 북한은 대북전단에 대한 보복 조치도 예고한 상황이라 이번 주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건 아닌지, 김대근 기자가 전망해 봤습니다.
[기자]
미군의 핵추진 항공모함, 루즈벨트함이 부산항에 입항한 가운데, 이번 주 한미일 3국의 첫 다영역 군사훈련 '프리덤 에지'가 실시됩니다.
최근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동반자 조약'을 체결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만큼 북한의 반응이 주목됩니다.
북한은 한미일 연합훈련을 북러 군사협력 강화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삼을 것으로 보이는데,
더 나아가 북러 조약 체결로 자신감에 찬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할 무기를 시험 발사하며 성능을 과시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김용현 /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한미일 군사훈련에 대한 대응 형태로서, 또 러시아에 제공할 미사일을 사전에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동해 상으로 단거리 미사일 발사 훈련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죠.]
북한은 또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보복 조치도 예고한 상황.
서해에서의 포격이나 무인기 침투 외에도 해킹 등 새로운 방식의 공격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김대영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연구위원 : 해킹 시도가 좀 높지 않을까, 그래서 금융전산망, 은행들 금융전산망이나 아니면 우리 정부 홈페이지라든가, 이런 데 사이버 공격을 가할 가능성도 굉장히 높죠.]
그런데 이런 단기적 대응 외에도 북러가 군사 협력을 지속하며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북한의 공병부대는 물론 전투부대의 우크라이나 파병이나, 북한의 핵 개발을 러시아가 묵인하고 물밑에서 지원할 가능성까지 거론됩니다.
[현승수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푸틴 대통령이 우리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다고 공식적으로 승인한 건 아니지만 핵 개발에서부터 모든 것들은 다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거잖아요, 조약이.]
국책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번 푸틴 대통령 방북 시 러시아가 안보리 대북 제재를 대놓고 무시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핵무장을 우회적으로 용인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술핵 재배치나 자체 핵무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북핵 대응 방안을 검토... (중략)
YTN 김대근 (kimdaegeu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623231152091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