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화연결 : 함은구 을지대학교 안전공학전공 " /> ■ 전화연결 : 함은구 을지대학교 안전공학전공 "/>
■ 진행 : 나경철 앵커
■ 전화연결 : 함은구 을지대학교 안전공학전공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전문가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함은구 을지대학교 안전공학전공 교수님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함은구]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저희가 갑작스럽게 이런 사고가 교대역에서 발생했다는 소식을 전해 드리고 있는데요. 이렇게 외부로 가스가 많이 누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사고입니까?
[함은구]
빈번히는 아니지만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보도상으로만 보면 외부 배관이 파열되면서 지하철 교대역사 쪽으로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요. 알려진 걸로는 도시가스 배관인 걸로 알려져 있고 만약에 도시가스 배관에 의한 가스누출이라고 한다면 도시가스는 메탄이라는 가스가 주성분이거든요. 보통 메탄가스가 주성분이 되고요. 이 메탄가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부탄이나 프로판과 같은 가스보다는 비중이 가벼워요. 무슨 말씀이냐면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메탄 같은 경우에 실제로 바닥에 깔리는 게 아니라 위쪽으로 거동하는 그런 특성을 보여주고 있거든요. 그래서 다른 가스보다는 지하철 역사로 들어가면 그래도 지하 공간이기 때문에 가스 배출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원활하지 않은 그런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여러 가지 정확한 정보를 봐야 되겠지만 결국 메탄가스를 빨리 확산시켜서 가스 배출이 이뤄져야 될 것 같고요. 만약에 메탄가스가 체류되는 공간 안에 그러니까 가장 무서운 게 밀폐된 공간이거든요. 메탄가스가 도로상에서 누출됐다고 하면 공기 중으로 빠르게 확산될 테니까 큰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게 지하에서 배출이라든가 충분히 환기가 안 되는 조건이라고 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폭발을 할 수도 있거든요. 연소 한계에 들어가게 되면 점화원이 존재했을 때 폭발할 수 있는. 그래서 과거에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아현동 가스 지하철 공사하는 현장에서 폭발사고가 있었죠. 그때는 지하철 공사를 하면서 도시가스 배관을 건드리면서 말씀드린 것처럼 폭발범위 안에 가스 누출이 되면서 굉장히 큰 폭발사고가 발생했었는...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627122731516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