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 수사방해 의혹 등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 수사팀이 7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 2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조사에 이어 핵심 관계자 소환으로 ‘VIP 격노설’을 둘러싼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날 오전 10시 20분쯤 특검사무실에 도착한 김 전 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알린 적 없다는 입장은 여전한가”, “민간인 신분으로 왔는데 특검 수사에 협조할 계획인가” 등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김 전 사령관은 VIP 격노설을 언급하는 등 지난해 7∼8월 채 해병 사망 경위를 조사한 박정훈 대령에게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연루됐단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박 대령에게 “브이아이피(VIP)가 격노했다”고 전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이날 오후 조사를 맡은 이정민 부부장검사는 김 전 사령관에게 채 해병 사망 사건 당시 해병대 파견 방첩부대장이었던 문모 대령과 김 전 사령관의 통화녹음 파일을 제시했다고 한다.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복원한 해당 녹음파일에는 “박 대령이 VIP 격노에 대해 알고 있고 폭로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막아야 한다”는 취지의 대화가 담겼다고 한다. 국군방첩사령부 소속으로 당시 해병대 파견부대장이었던 문 대령은 VIP 격노설을 김 전 사령관에게 전해 들었다고 지목된...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713?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