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대 요구, 농산물·디지털·자동차 등 제조업
국방비 지출 GDP의 5% 수준 증액 요구…현재 2.32%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미국에…정부 총력전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부과한다고 밝힌 25% 상호관세 유예 마감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미 정부가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고위급 통상협의를 엽니다.
외교부 장관과 산업부 장관도 미국을 방문해 총력전을 펼칠 예정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이승은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통상협의를 엽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오늘 아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구윤철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지금 저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재무장관 또 USTR 대표와 2+2로 25일날 회의를 하는 걸로 확정이 됐습니다.
외교부 장관님과 산업부 장관도 각각의 카운터 파트와 회의하기 위해서 빠르면 이번 주, 최대한 빨리 미국으로 가서 미국도 설득하고 이렇게 할 계획입니다.]
구 부총리는 8월 1일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모든 관계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계획을 치밀하게 짜고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4월 2+2 협의는 부총리와 산업부 장관이 참석했지만 이번에는 미국의 요청으로 산업부 장관이 아닌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합니다.
이미 두 차례 관세 협상을 진행한 여한구 본부장의 참석이 협상의 연속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2+2협의 기간 통상 수장인 김정관 산업부 장관 역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나고, 조현 외교부 장관도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는 일정을 추진하고 있어 한미 고위급 협의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전망입니다.
미국의 핵심 요구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 등 농산물과 정밀지도 반출 등 디지털, 자동차 등 제조업 부흥 3가지입니다.
또 북대서양조약기구를 압박해 2035년까지 나토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의 5% 수준까지 늘린다는 약속을 받아냈고, 우리나라에도 같은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우리나라 국방예산은 61조2천억 원으로 GDP의 2.32% 수준입니다.
현재 대통령실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미국으로 건너가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 (중략)
YTN 이승은 (se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72214474918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