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통상 오는 25" /> 기재·통상 오는 25"/>
열흘 남은 관세 유예기한…’대미 협상 전략’ 논의
기재·통상 오는 25일 미국서 ’2+2’ 협상’
4월 이후 석 달 만에 ’2+2 협의체’ 재가동
"상호관세·품목관세, 면제 또는 최대한 인하 목표"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오는 25일 미국 재무장관과 USTR 대표와 '2+2' 통상 협상에 나섭니다.
구 부총리는 산업 장관과 외교 장관도 별도의 회담을 갖는 등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모든 관계부처가 치밀한 계획을 짜고 총력대응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 이틀째, 구윤철 경제 부총리는 긴급 대외경제장관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미국과의 상호관세 유예기한이 다음 달 1일로 2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관계부처 장관들과 대미 협상 대응 방향과 전략을 점검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2+2' 협상을 갖는다고 밝혔습니다.
[구윤철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지금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저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재무장관 또 미국 USTR(대표) 해서 '2+2'로 25일에 회의를 하는 것으로 확정됐습니다.]
이른바 '7월 패키지' 추진에 합의한 지난 4월 말 회의 이후 석 달만에 '2+2 협의체'가 재가동되는 겁니다.
지난 4월에는 산업부 장관이 참석했는데 이번에는 통상교섭본부장이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됩니다.
구 부총리는 모든 관계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치밀하게 계획을 짜고 총력 대응하겠다면서 마지막 갈 때까지 최선을 다해 아주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8월 1일 협상 시한의 연장 가능성에는 "가서 협상을 해야 한다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2+2' 협상과는 별도로 조현 외교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부 장관도 이르면 이번 주 미국을 찾아 카운터파트격인 루비오 국무장관, 러트닉 상무장관과 접촉하며 미국을 설득할 예정입니다.
통상 당국은 현재 미국이 예고한 25%의 상호관세와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관세를 면제받거나 최대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협상에 임하고 있습니다.
비관세 장벽 분야에서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과 쌀 수입 쿼터 확대 등 농산물과 디지털 분야에서 높은 압력을 받고 ... (중략)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722223524757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