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무역 합의를 거론하며 주요 무역 상대국에 시장 개방을 강하게 압박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미국에서 전방위 고위급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신윤정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를 각국 시장 개방 압박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직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개방하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소셜미디어에 잇따라 글을 올리고 어제 일본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에 시장을 개방했다며, 이는 관세 때문에 얻어진 거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주요 국가들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관세율을 양보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즉, 일본처럼 미국에 시장을 개방할 경우 기존에 예고했던 관세율을 내려줄 수도 있지만, 거부한다면 더 올리겠다는 겁니다.
다음 달 1일 상호 관세율 부과를 불과 9일 앞두고 각국의 비관세 장벽 철폐와 미국산 제품구매 확대 등을 압박하는 건데, 아직 미국과 합의를 매듭짓지 않은 우리나라에도 해당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이 무역 합의를 통해 일본 시장을 어느 정도 개방하게 된 것인가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자동차를 포함해 농업과 절대 안 된다고 했던 쌀까지도 자국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어 수십억 달러어치의 군사 장비 등을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도 했는데, 백악관 당국자는 일본이 미국 보잉사의 항공기 100대를 구매하는 내용이 합의에 포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어 일본이 관세를 낮추는 조건으로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5,500억 달러 투자의 수익 90% 이상을 미국이 갖게 된다고 썼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이 5,500억 달러의 투자처를 결정하고 운영할 사업자에게 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은 자본과 대출, 대출 보증을 통해 자금을 대는 방식이 될 거라며 일종의 '백지수표'와 비슷한 것이라고 취지로 설명했습니다.
우리나라와의 협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같은데, 우리 정부 움직임도 빨라지겠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와 일... (중략)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724045818516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