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 사고는 한순간의 방심에도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해수욕장에선 수상 안전요원들이 안전과 무관한 업무까지 떠안으면서, 정작 중요한 안전 관리에 빈틈이 생기고 있습니다.
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원도 강릉의 한 해수욕장.
수상 안전요원 두 명이 삽으로 백사장을 파고, 평상과 파라솔을 설치합니다.
바다에선 피서객 수십 명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지만, 설치 작업은 10분 넘게 이어집니다.
그사이 수영 한계선을 벗어난 피서객들이 눈에 띄지만, 이를 제지하는 안전요원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난 20일, 이곳에선 스노클링을 하던 40대가 물에 빠져 지금까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수욕장 운영 위원회 관계자 : 자주 있는 일이 아니고 사람이 없으니까 그런데, 이제 사람 꽉 차는데, 그때부터 도와줄 일이 없죠.]
인근 다른 해수욕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이곳 안전요원들도 파라솔 설치와 튜브 대여 업무를 함께 맡은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피서객 : 안전 쪽으로 하시는 분 따로 해서 명확하게 나눠서 역할을 해줬으면 하는데, 같이 하면 약간 불안하긴 하죠.]
이처럼 안전요원들이 안전과 무관한 업무까지 떠맡는 건 인건비를 줄여 수익을 더 남기려는 운영 방식 때문이란 지적입니다.
소규모 해수욕장은 대부분 마을에 위탁해 운영되는데, 비용 절감을 우선하다 보니 이런 관행이 반복된다는 겁니다.
[공하성 / 우석대 교수 : 안전요원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일을 하는 만큼 본인의 업무인 안전관리에만 충실할 수 있도록 관계 당국에서 철저히 관리 감독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익을 앞세운 운영 속에 안전이 뒷전으로 밀린 일부 해수욕장.
물놀이 사고를 막기 위한 점검 강화와 제도적 보완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송세혁입니다.
영상기자: 조은기
YTN 송세혁 (shs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72715014551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